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은 대부분 4대보험의 가입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요금을 매달 월급에서 제하고 실수령액을 받게 되는데요. 그 중에 국민연금 같은 경우 공적연금 제도로서 개인이 소득활동을 하지 못하거나 정해진 나이 이상이 되었을 때 지급받는 연금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퇴직연금 계산기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퇴직연금 같은 경우 회사에서 가입을 하는 것으로 이를 운영하는 별도의 금융기관에 맡겨 제때에 지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회사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형식이었는데, 경영란이 닥친다거나 도산으로 인해 퇴직금을 못받는 경우가 발생하곤 했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국가에서는 퇴직연금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우선 2016년 같은 경우 근로자가 300명 이상이 곳은 의무가입을 해야하고 이는 2022년까지 이어져 모든 기업이 가입해야 하는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같은 경우 퇴직 후 수령을 받기 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부분을 매꿔줄 수 있는 것이 퇴직연금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사이트에서는 퇴직연금 계산기 및 상품에 대한 도입배경이나 필요성, 가입절차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검색창에서 이를 검색한 뒤 홈페이지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다음으로 퇴직연금 계산기 부분은 사이트 중앙에 있는 시뮬레이션란에 부담금 및 수수료를 클릭해서 이동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이를 계산하기 전에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퇴직연금의 종류는 확정기여형 혹은 개인형퇴직연금 이오니 현재 가입되어 있는 상품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부담금 기여율 및 과거근무기간, 납입주기를 선택하고 월평균 임금을 기재하고 합계보기를 클릭하면,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부담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과 시뮬레이션에 있는 노후설계를 이용하시면 국민연금지급액 및 퇴직연금지급액, 연간필요자금, 금융자산에 대한 상세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퇴직연금 계산기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요즘은 평균 수명이 올라갔기 때문에 퇴직 후 기대수명까지 20년 이상이 되는 경우가 흔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퇴직 후 다시 일을 하시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평소에 추가적인 연금의 준비는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0) | 2016.12.08 |
---|---|
올크래딧 무료 이용방법 (0) | 2016.12.08 |
은행 연이율 계산 계산기 이용방법 (0) | 2016.12.06 |
나이스신용평가 무료 이용 정보 (0) | 2016.12.05 |
근로자전세자금대출 조건 안내 (0) | 2016.12.05 |